생활·건강상식

[스크랩] 커피농약 (살충제)

노송황토 2014. 9. 6. 05:17

 


차세대 살충제 : 로스팅 하지 않은 커피콩 단백질

해외과학 기술 동향

2010-04-04

브라질 연구자들은 처음으로 커피콩이 벌레를 죽일 수 있는 단백질을 포함하고 있으며, 병충해로부터 농작물을 보호할 새로운 살충제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전 세계적으로 가장 중요한 열대농작물 중 하나인 커피의 새로운 용도를 제시한 이 연구결과는 ACS의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에 게재되었다.

땅콩류와 콩류, 기타 다른 식물 종자에는 글로불린(globulin)이라는 단백질이 있는데, 이 단백질이 벌레를 퇴치한다. 커피콩에는 많은 양의 글로불린이 들어있는데, 파울로 마자페라(Paulo Mazzafera)와 그의 동료들은 커피의 글로불린도 살충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 의문을 품었다. 글로불린은 커피콩을 볶을 때 높은 열 때문에 파괴되므로 끓인 커피에는 발견되지 않는다.

연구진은 단백질의 살충 활성도를 연구할 때 모델로 사용되는 벌레인 동부(광저기, cowpea) 바구미 유충을 대상으로 테스트를 수행했다. 그 결과, 소량의 커피 단백질로도 50%에 이르는 벌레를 빠른 시간 내에 죽일 수 있음을 관찰했다. 앞으로 곡류와 같은 중요 농작물에 과학자들이 이 살충 단백질 유전자를 삽입하면 식물 스스로 살충제를 생산해낼 수 있을 것이라고 연구자들은 전망했다. 이 단백질은 인체에는 무해하다.

연구진은 Coffea arabica와 Coffea racemosa 종자로부터 레구민 유사 단백질(legumin-like proteins)을 확인하여 이를 겔 여과 및 역상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동정해냈다. 그런 다음, 동부 바구미(Callosobruchus maculatus) 유충에 인공사료를 투여함으로써 정제된 단백질의 살충효과를 조사했다. 정제된 단백질의 반수치사량(LD50)은 0.3~0.5%(w/w)로, 반수유효농도(ED50)는 모든 단백질에서 0.3%로 나타났다. 이 레구민 유사 단백질은 바구미의 중장 균질물(midgut homogenate)과 8시간 동안 배양하여도 분해되지 않았다. 이 단백질은 키틴 결합 단백질로, 이 단백질이 바구미 유충의 장에 존재하는 키틴에 결합하여 소화가 되지 않음으로써 살충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고 연구자들은 밝혔다. *

자세한 연구내용은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2010, 58 (5), pp 3050?3055"에 수록되어 있다.


 


커피 살충제

○ 커피를 응용한 방법

진딧물류, 응애류, 노린재류, 벼 물바구미 성충, 매미충류 (멸구류, 쌍점매미충 등)

제 1안).

구분

사용량(물20L)

살포간격

자판기용저급커피

200g

필요시 수시살포

소주(35%)

250cc

느릅나무껍질(건조)

40g

치커리뿌리(건조)

20~40g

제 2안).

구분

사용량(물20L)

살포간격

자판기용 커피

200g

필요시 수시살포

소주(35%)

30cc

목초액(죽초액)

30cc

현미식초

40cc

느릅나무껍질(건조)

40g

치커리뿌리(건조)

20~40g

* 조제액은 오전 일찍 혹은 오후 늦게 햇볕이 약한 시간에 살포하고 충분히 흠뻑 살포하십시오.

○ 유채기름(채종유)을 응용한 방법

진딧물류, 응애류, 노린재류, 벼 물바구미 성충, 온실가루이, 잎굴파리, 총채류, 매미충류 (멸구류, 쌍점매미충 등)

구분

사용량(물20L)

살포방법

유채기름

60cc

필요시 수시살포

소주(35%)

40~150cc

프림

20~40g

느릅나무껍질(건조)

40g

치커리뿌리(건조)

20~40g

국화꽃(건조), 정향

40g

감초

20g

* 느릅나무껍질, 치커리뿌리는 물에 충분히 불리고 갈아서 여과후 희석할 것 (감초, 국화꼿은 삶아서 사용할 것).

* 감초, 정향은 다려서 사용하고 정향은 3탕도 가능함. 기타재료를 첨가해도 무방함.

* 식품이나 한약재를 응용한 제조액은 사용 후 남은 것은 밀봉하여 냉장보관하거나 변질을 막기 위해 빠른 시일 내에 사용할 것.

* 기름종류를 사용할 때는 목초액, 식초류 사용을 금할 것.

□ 커피를 이용하는 방법 (가장 편하게 많이 사용하는 방법)

○ 큰 통을 준비한다

○ 물 한말(20ℓ)기준으로 현미식초 30cc와 커피 200g을 섞는다.

※ 적용병해충 - 벼물바구미 성충, 멸구류, 매미충류, 혹명나방, 먹노린재


 


커피살충제.

[출처 : 농업에 유익한기술 / mulkkol / 2006/11/08 16:31 ]

대부도에서 포도 농사를 짓고 계신분의 체험담입니다.

포도를 무농약으로 3년차 하시는데요.
다음 방법으로 3번 정도 방제를 하여 충에 대한 염려를 전혀 하지 않으신다구요.

물 500리터에 : 물20리터당(1말)
(1). 가루커피 1키로 40그람
(2). 현미식초 800cc 32cc
(3). 소주 800cc 32cc

이렇게 섞어서 2시간을 놓아두며 숙성시켰다가 고루 살포를 하면

착과기 전과 후에 충에 대한 방제를 성공적으로 해낼수 있다고 합니다. 참고가 되시길 바라면,

앗 ~ 차 ~
그리고 커피를 쓰면 또하나의 효과가 있는데
포도 송이도 길어지고 꼭지도 길어지는 효과가 있어 과을 키우는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는 군요.
(독정정미소에서 퍼온글)
진딧물방제 = 이분 계피로 간단히 된다네요.


충제 천연원료 소개

친환경 농자재 소개 (라이아니아 제제)

라이아니아(Ryania speciosa)의 뿌리, 줄기, 잎에서 추출한 가루 형태의 천연물질로 살충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은 라이아노딘(ryanodine)이다.

개요

라이아니아(Ryania speciosa)는 버드나무과 사시나무속으로 중남미 열대밀림에서 서식하는 라이아니아 식물에서 추출하며, 특히 이중에 라이아노딘(ryanodine)의 성분이 천연 살충제 효과를 가지고 있다.

최초의 천연물질로서 칼슘이온의 방출을 억제하는 근육 독성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살충효과는 속효성이지만 식물체내의 이행성은 없다.

또한 국제유기농업 허용물질(Codex)로서 국제적으로 검증받은 친환경자재이다.

포유류에 대한 독성은 낮으나 어독성이 강하며, 나방류, 총채벌레, 메뚜기 등에 대한 살충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농약 혼용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pyrethrum(제충국)에 비교하여 포장에서의 효과가 5~9일 전도 지속된다.

잔류기간이 길지 않아 최후의 수단으로서 수확진전까지 사용이 가능하다.

작용 기작

접촉과 섭식활동을 통하여 독성을 발휘하며, 천적 등의 곤충에는 피해가 없다. 접촉 후 먹이활동과 번식활동이 멈추게 된다.

사용대상 및 사용방법

심식나방, 총채벌레, 담배밤나방, 애수시렁이, 코드린나방, 왕담배나방, 조명충나방, 배속애기잎말이나방, 배추 흰나비 유충, 노린재 목, 목화바둑명나방 등에 효과가 있으며, 양파의 삽주벌레, 콩 진딧물, 사과응애, 담배박각시나방 등에는 효과가 없는것으로 알려져 있다.

Powder: ryania의 뿌리 줄기, 잎을 잘게 부셔 건조한 후, 진흙 이나 활석에 50% 이하로 섞은 후 성충으로 나오는 시기에 뿌려준다.

Spray : 유충을 대상으로 하여 방제 할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물에 200배로 희석하여 깨끗한 천을 이용하여 걸러준 후, 10~14일 간격으로 살포한다. * * *


라이아니아 (Ryania speciosa)


출처 : http://cafe.naver.com/happyparm/780
출처 : 초보 귀농인의 원두막
글쓴이 : 마당바위(경북 영주)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