찔레나무의 효능 과 특성
장미과(薔薇科 Rosaceae)에 속하는 낙엽관목. 키는 2m 정도 자라며. 줄기와 어린가지에 잔털이 많고 갈고리 같은 가시가 달려 있지만 없는 경우도 있다.
잎은 5~9장의 잔잎으로 이루어진 겹잎으로, 잔잎은 길이가 2~8㎝ 정도이며 가장자리에는 톱니들이 있다.
잎자루 밑에 턱잎[托葉]이 있고, 턱잎가장자리에는 빗살 같은 톱니가 있으며, 턱잎의 아래쪽은 잎자루와 합쳐져 있다.
흰색 또는 연분홍색의 꽃은 5월경 가지 끝에 원추(圓錐)꽃차례를 이루며 무리져 피는데, 꽃자루에는 잔털이 있고, 꽃받침잎·꽃잎은 모두 5장이며,
수술은 많으며, 열매는 9월경 붉은색으로 둥그렇게 익는데 약재로 사용한다.
한국에서는 산과 들에 피는 장미라는 뜻으로 들장미 또는 야장미(野薔薇)라고도 하며, 가지를 많이 만들며 가지가 활처럼 굽어지는 성질이 있어
울타리로도 많이 심고 있다.
양지가 바르면 어떤 토양에서도 잘 자라는데 추위에도 잘 견디고 뿌리가 얕게 내리지만 길고 거칠기 때문에 옮겨 심을 때는 주의해야 한다.
봄에 새싹과 꽃잎을 날것으로 먹기도 하며, 가을에 열매를 따서 햇볕에 말린 것을 영실(營實)이라고 하여 준하제·이뇨제로 쓴다.
찔레는 장미과 장미속에 딸린 떨기나무로 한의학에서는 찔레를 석산호(石珊湖)라 부르고 그 열매를 영실(營實), 또는 색미자(嗇薇子)라 하여,
한약재보다 민간에서 더욱 귀하게 약재로 쓰이고 있는데 꽃,·열매,·뿌리,·새순,·뿌리에 기생하는 버섯 등을 약으로 쓴다.
찔레나무의 약리적인 기능은 비장을 튼튼히 하며 기순환을 돕와주며, 피를 걸려주고 월경을 순조롭게하며, 소화불량이나 몸이 쇠약한 증상 좋은 효능이 있다.
이뇨, 변비, 신장염, 부종, 류머티즘에 좋으며, 찔레나무 열매는 비타민C가 많이 들어있어 신맛이 나고 날것으로 먹기도 한다.
열매는 겨울에는 산새들의 먹이가 되기도 하며. 열매를 막걸리에 축여 찌고 말리기를(법제하는 것) 수차례하면 부드러운 약성을 유지하므로
장기복용해도 무리가 없으며, 이뇨, 사하, 해독, 부종, 각기, 사지마비, 창종, 복통, 치통, 당뇨병, 이질, 관절염등등 여러곳에 효능이 있다.
♣ 찔레나무 꽃의 효능
4~5월에 꽃이피는 찔레꽃은 백색과 분홍색 두종류가 있는데 모두 약으로 사용하며, 꽃의 효능은 더위를 제거하고 위장의 기운을 고르게 하며
지혈하는 효능이 있고. 더위로 인한 토혈, 구갈, 설사, 이질, 학질, 도상출혈, 칼에베인 상처, 어혈, 새살돋게 하고, 방향이 있어 위를 튼튼하게 한다.
찔레나무 꽃은 5~6월 만발했을 때 채집하여 햇볕에 말려서 사용하는데. 맛은 달고 성질은 서늘하다고 한다. 4~8그램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상처는 가루내어 뿌린다.
※ 찔레꽃차 만드는 방법
찔레꽃의 향기는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을 만큼 짙고 신선하다. 이러한 찔레꽃을 따다가 차로 만들어 먹으면 혈액순환이 잘 안 되어 몸이 붓고
무겁거나 신경통 등이 나타날 때 좋은 효과가 있다.
또 소변 불통이나 부종을 다스리는 약효가 있다고 하는데, 요즘 들이나 산 기슭에 찔레 꽃이 피고 있으니 한번 사용해보시길 권한다.
① 찔레꽃을 따다가 10%소금물과 식초 몇방울을 넣고 깨끗이 씻은 뒤 그늘에서 약 3일 정도 말린다.
② 이렇게 잘 말린 찔레꽃을 뜨거운 물에 우려내어 차로 마신다.
③ 특히 말린 당근과 함께 먹으면 더욱 좋다.
♣ 찔레나무 뿌리의 효능
찔레 뿌리는 계절 관계없이 시간날때 채취하여 씻어 그늘에 말린 다음 약재로 사용한다
여성 질환에 좋으며 산후풍, 산후골절통, 부종, 어혈, 관절염 질환에 항염 소염 약효 효과는 신비롭기만 하다.
특히 여성들의 산후풍, 산후골절통에는 찔레 뿌리로 술을 담가 먹으면 놀랄 만큼 효험을 본다고 전해지고 있다.
찔레나무뿌리는 강력한 항염, 소염작용을 하며 곪은 상처를 낫게 하는데 특효가 있는데. 찔레 뿌리를 달여서 먹으면 탁한 피를 맑게 하고 백혈병을
예방하고 치료 한다.
림프종암(혈액암)을 치료하는데도 좋다. 뿌리는 발가락이 썩어 들어가는 버거시병을 치료하는데 좋고 대풍창(나병) 을 치료하는데 썼다고 한다.
가을철이나 이른 봄철에 찔레 뿌리를 캐내어 율무쌀로 막걸리를 빚어 자기 전에 약간 취할 만큼씩 마신다.
♣ 찔레나무 열매의 효능
찔레나무 열매는 최상의 해독제로 알려져 있는데 찔레나무를 잘 활용하면 누구든지 미인이 될 수 있으며 여성들한테 제일 좋은 약재라고 할수있다.
먼저 찔레나무 열매는 몸속의 쓸모없고 오염된 물기를 모조리 몰아내어 준다. 한마디로 말하면 치수(治水)의 제왕(帝王)이다.
몸속에 쌓여 있는 오염된 물기가 빠지면 체중이 줄어들어 날씬해지고 살결이 매끄럽고 탄력이 생긴다.
찔레 열매는 모든 독을 풀어주는 가장 훌륭한 해독제로 전해지고 있는데. 산에서 독초를 먹고 중독되었거나 잘 알지 못하는 독성이 있는 산나물이나,
산열매 같은 것을 먹고 중독되었을 때 찔레나무 열매를 따서 5~10g을 꼭꼭 씹어서 천천히 먹는다.
먹고 나면 얼마 지나지 않아 설사를 하면서 소변이 많이 나온다. 대변과 소변을 통해 독이 빨리 몸 밖으로 빠져나오는 것이다.
찦레나무 열매는 장의 운동을 좋게 하여 변비를 없애고 부은 것을 내리고 생리통이나 생리불순, 냉증 같은 부인병을 치료하는 데에도 뛰어난 효험이 있다.
찔레나무 열매에는 비타민 C가 감나무 잎보다 두 배 이상 많다고 하며,. 생리통, 생리불순, 변비, 신장염, 방광염, 각기, 부종이나 수종 등 온갖
여성들한테 흔한 거의 질병을 통치한다고 전해진다.
8 월에 반쯤 익은 열매를 따서 그늘에서 말려서 약으로 쓰는데. 물로 달여서 먹거나 가루 내어 먹어도 좋다다.
하루 열매 10-15g을 물 1리터를 붓고 물이 절반쯤 되게 약한 불로 달여서 세 번으로 나누어 매 식후 먹는다.
한꺼번에 너무 많이 먹으면 설사가 심하게 날 수 있으므로 처음에는 조금씩 먹다가 차츰 양을 늘려 나가는 것이 좋다.
옛말에 욕속부달(欲速不達)이라 했으니 욕심이 앞서면 일을 그르치게 된다.
찔레나무 열매로 담근 술을 영실주(營實酒)라 부른다. 반쯤 익은 열매를 따서 깨끗하게 씻어 50도쯤 되는 독한 증류주에 담가 서늘하고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 두어 6개월쯤 숙성시켜 두었다가 한 번에 30~50ml씩 아침저녁으로 복용한다.
효능은 생리불순, 부종, 방광염 여성 질병이 없어지고 살결을 고와지게 하는 효력이 있어 미인주(美人酒)라고 부른다.
찔레 열매에 물을 10배쯤 넣고 천천히 가열해 물엿처럼 될 때까지 졸인 것을 영실고(營實膏)라고 한다.
영실고는 맛이 좋고 오래 두어도 상하지 않는다. 찔레나무 열매가 흔할 때 따서 만들어 두고 먹으면 좋고, 찻숟갈로 하나씩 따뜻한 물 200~300ml에
풀어서 하루 2~3번 먹는다. 몸 안에 쌓여 있는 온갖 노폐물과 독소, 오염 물질이 빠져나가서 몸과 마음이 날아갈 듯이 가볍고 깨끗하게 된다.
♣ 찔레나무 가지의 효능
부인의 대머리를 치료한다고 전해지는데, 치료 방법은 찔레나무 어린가지와 후조 즉 원숭이과 동물인 선후의 담낭 결석을 함께 달인 즙을 바른다..
♣ 찔레나무 새순의 효능
이른 봄철에 올라오는 찔레나무의 새순을 껍질을 까서 먹으면 떫으면서도 들큰한 맛이 있어서 어릴적 좋은 먹거리였던 추억이 있는데,
그 찔레순이 어린이의 성장발육에 큰 도움이 된다고 한다.
찔레의 어린순에는 식물성 성장호르몬이 대단히 풍부해서 키가 자라지 않아 걱정하는 어린이의 성장발육에 대단히 효과가 좋다.
또 건강한 아이들에 성장을 돕는데 최고의 선약이라 할수 있는데, 아이들의 키가 한창 자랄무렵 성장판에 통증이 있을때 효과가 좋다고 하며,
또한 관절염 등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전해진다.
찔레순을 흙설탕이나 꿀과 함께 발효 시켜 먹으면, 성장조절 호르몬이 많이 들어 있어 어린이들의 성장 발육에 효과가 좋으며, 혈액순환, 변비,
수종, 어혈 같은 증상등도 없어진다.
♣찔레나무 버섯의 효능
찔레나무 뿌리에 기생하는 찔레버섯은 어린이 기침, 경기, 간질에 최고의 묘약이며 항암효과도 뛰어나다고 하는데. 찔레나무 뿌리에 붙어
땅 속에서 자라므로 찾아내기가 어려운 것이 단점이다.
찔레나무 버섯은 달여서 복용하면 흙 냄새가 조금 날 뿐 별 맛이 없는데, 이를 복용하면 간질을 고칠 수가 있다.
찔레버섯 10~15g을 한 시간쯤 달여서
그 물을 하루 세 번 나누어 복용한다.
찔레나무 버섯은 버섯 중에서 암 치료에 가장 탁월한 효력이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는데.위암, 폐암, 간암 등 갖가지 암에도 똑같은 방법으로 복용하면 좋다.
▣ 찔레나무의 효능
◐ 여성들의 생리통, 생리불순에 좋다
여자들의 생리통, 생리불순, 방광염, 변비, 각기, 수종, 등에 치료효과가 뛰어난 약재로 8-9월에 반쯤 익은 열매를 따서 그늘에서 말린 것을 물에 넣고
다려서 복용하거나 가루 내어 먹는데 하루에 10-15g을 세 번으로 나누어 복용한다.
◐ 산후 풍, 산후골절통에 좋다
가을철이나 이른 봄철에 찔레뿌리를 캐내어 율무쌀로 막걸리를 빚어 자기 전에 약간 취할 만큼씩 먹는다.
◐ 급성간염에 좋다
신선한 뿌리 20~30g을 돼지 살코기 80g과 같이 끓인다음 술 120~160㎖를 넣고 1시간 정도 또 끓여 점심이나 저녁 때에 하루 한 번 먹는다.
◐ 어린이의 성장발육에 좋다
찔레의 어린순에는 식물성 성장호르몬이 대단히 풍부해서 키가 자라지 않아 걱정하는 어린이의 성장발육에 대단히 효과가 좋다.
찔레순을 흙설탕이나 꿀과 함께 발효 시켜 먹는다.
◐ 어린이의 기침·경기·간질에 좋다
찔레버섯 10∼15그램을 한 시간쯤 달여서 그 물을 하루 세 번 나누어 복용한다. 찔레버섯은 찔레나무 뿌리에 붙어 땅속에서 자라므로 찾아내기가 어렵다.
◐ 혈액순환·소변 불통에 찔레꽃차가 좋다
만성적으로 코피를 자주 흘릴 때: 찔레뿌리80-100g을 암탉과 함께 약한 불에 다려서 복용하는데 매주 1회 연속 3주간을 복용한다.
◐ 방광염, 변비, 각기, 수종, 등에 좋다
찔레나무 열매를 물에 넣고 다려서 복용하거나 가루 내어 먹는데 하루에 10-15g을 세 번으로 나누어 복용한다.
◐ 피를 토하거나 치질출혈에 좋다
찔레뿌리 40g을 약한 불에 장시간 다려서 복용한다.
◐ 외상출혈, 화상치료에 좋다
화상을 치료할때는 가루 내어 기름에 개어 환부에 바른다.
◐ 폐옹: 설사, 복통, 치통, 당뇨병, 이질, 관절염, 사지마비, 토혈, 유뇨, 타박상을 치료
폐옹: 설사, 복통, 치통, 당뇨병, 이질, 관절염, 사지마비, 토혈, 유뇨, 월경불순, 타박상을 치료할 때는 찔레나무 뿌리6-15g을 물로 다려서 복용한다.
◐ 부인의 대머리를 치료한다
찔레나무 어린가지와 후조(철새)를 함께 다린 즙을 바른다.
'생활·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귀에 양파 한 조각을 넣으면 이런 일이 일어납니다 (0) | 2016.11.04 |
---|---|
[스크랩] 우유로투명한 피부만들기 (0) | 2016.03.10 |
[스크랩] 마늘를 고온처리 해서 먹기 (0) | 2015.10.18 |
[스크랩] 금전초의효능 (당뇨병.간질환.간경화.간염.황달.비염.통풍.근육통.치통.결막염.기관지질환.요로결석)등등..만병통치 (0) | 2015.08.25 |
[스크랩] 발모차,머리카락이 많이 빠진 분들의 희소식 발모차세트 ~~ (0) | 2015.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