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상식

[스크랩] 컴퓨터 두대 연결법...

노송황토 2006. 12. 8. 18:20

두대 컴퓨터 연결하여사용하기  

일반적으로 속도가 빠르고 많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패러렐 포트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패러렐 포트란 프린터가 연결되어 있는 포트를 말하며, 주변의 컴퓨터 매장에 가서 FX케이블을 달라고 하면 양방향이 같은 모양의 케이블을 구할 수 있습니다. 가격도 2-3천원 정도로 그리 비싸지 않죠. 자, 그럼 시작해 볼까요?

1. 맨 먼저 할 일은 두 컴퓨터간에 케이블을 연결하는 겁니다. 전화 코드가 꽃혀 있어야 전화 통화가 가능하듯이...

2. 그리고 자신의 호스트 컴퓨터에는 '네트워크'에 'Microsoft 파일/프린터 공유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만약 설치가 되어있지 않다면 이 '네트워크'창에서 '추가'단추를 눌러 '서비스' 항목을 선택한 후 오른 쪽의 '추가'단추를 눌러 설치를 하면 됩니다.

3. '네트워크'창의 아래에 있는 '파일 및 프린터 공유'라는 단추를 선택하고 개인 파일 및 개인 프린터 공유를 선택합니다.

4. 이제 '공유'의 마지막 단계로서 드라이브나 폴더를 공유하는 설정을 해야 합니다. 탐색기에서 드라이브나 폴더를 선택한 후 마우스 오른 쪽 버튼을 눌러 보세요. '공유'라는 메뉴 항목이 나타납니다. 클릭한 후 등록정보에서 '공유'탭을 누른 후 '공유'를 선택한 후 '읽기/쓰기'를 선택합니다. 이젠 1단계 끝~

5. 시작 단추를 눌러 '프로그램' -> '보조프로그램' -> '통신' -> '케이블 직접연결'까지 다이렉트로 진격 합니다.

6. 창이 보이시죠? 무슨 창이냐구요. '케이블 직접 연결'창이요. 여기서 선택을 잘 하셔야 합니다. 만약에 데이터를 보내주는 컴퓨터라면 '호스트'가 될 것이고 데이터를 받는 쪽이라면 '게스트'가 됩니다. 데이터는 한 쪽에서만 전송하게 되어 있습니다.

7. '연결'에서 현재 사용자가 연결되어 있는 프린터 포트(LPT1)를 선택한 후 개인 사용자라면 그냥 마치면 되고, 여러 사람이 사용하는 컴퓨터라면 암호를 설정해 주면 됩니다.

8. 위의 설정화면에서 '게스트'를 선택했다면 그 상태에서 바로 마무리가 되어 기다리면 됩니다.

9. 이제 화면에서는 포트에 연결하는 화면 메시지가 나오고 잠시 후에 네트워크 컴퓨터의 이름을 물어보면 그 이름을 입력합니다. 이제부터 작업이 가능한 상태입니다. 좀 복잡하더라도 알아 두시면 유용하게 쓸 수 있을 것입니다.


▣ 주의 사항
※ 만약에 위의 5번까지 들어왔는데 눈앞이 캄캄하신 분...왜냐...'케이블 직접연결'이 안보이니까...이런 분들은 '제어판'의 '프로그램 추가/제거'로 들어가세요. 거기서 'Windows설치'탭을 누르시면 현재 구성 요소를 검색하게 되죠. 이 작업이 끝나면 '구성요소'항목에서 가장 아래에 있는 '통신'을 선택하고 '자세히'단추를 클릭하세요. 그러면 통신 내용의 중간쯤에 '케이블 직접연결'이라는 항목이 있습니다. 요놈을 체크하고 '확인'을 하면 설치가 되는 것이죠.


▣ 참고 사항
◈ 연결 방식에 대하여 잠깐! 주로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합니다. 지금까지 위에서 말한 패러렐 방식과 또 하나는 시리얼 포트를 이용한 방식입니다. 이 시리얼 포트 방식이 1M의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약 1분정도 걸리는 반변 패러렐 방식은 이보다 약 5배 정도 빠르죠. 그리고 전송 거리는 반대로 패러렐 포트 방식이 두 컴퓨터 간의 거리가 15M이내로 제한되는 반면 시리얼 포트 방식은 최대 50M까지도 가능합니다. 

◈ 9번 항목에서 컴퓨터의 이름이 헷깔리는 경우는 호스트로 설정한 컴퓨터의 제어판에 들어가 '네트워크'를 클릭한 후 '컴퓨터 확인 탭'을 보시면 컴퓨터 이름이 기록되어 있을 것입니다. 그놈을 참고 하세요.

출처 : 컴퓨터 두대 연결법...
글쓴이 : 여름향기 원글보기
메모 :